top of page

CHAOSMOS

김상돈 개인전

04.15 - 5.28, 2022

CHAOSMOS, 김상돈 개인전

April 15, 2022 - May 28, 2022

PROJECT SPACE MIUM

서울시 종로구 평창20길 14, 1층

Tel. 02 3676 3333



<The Ecstasy of Transference and Dialektik>

 

His father disliked Father. But this doesn’t mean he didn’t like himself: he did not like his own father—that is, the grandfather. His father lived like someone who didn’t have a father—he was ashamed of his father. His grandfather was a shaman—a male shaman, called Cheonhodong Shaman.

 

But the grandfather wasn’t a shaman while he was living in Ongjin just below the 38th Parallel. People said that he must have been a Christian like a lot of people from the same area. Who knows? He might have been a Buddhist. At any rate, some time before the Korean War, he traveled upstream on a boat on the Han River to Seoul and unloaded at the Gwangnaru Ferry. He had lived in an affluent household in Ongjin. In Cheonhodong, he was doing all right. As often found in mythical descriptions of a wealthy man, he could travel about 10 kilometers from Maljuk-geori to Cheonhodong without leaving his own land. That’s what they say. This was all before his second son had had his second son.

 

Nobody knows why the following happened. And there’s no way to know. One night his grandfather woke up suddenly and went straight toward a mountain, as if he knew his destination. His sons and daughters followed him and tried to dissuade him, seeing that he acted as if he was possessed. Then they saw him dig with his bare hands at a spot on a slope somewhere in Gwangju, today called Gangnam, finding a sword, bells, and a folding fan, and bringing them back. Clearly, he was possessed or bewitched. Right away, he invited a spirit into his home and established a shrine. Whether his main spirit was General Choe Yeong (1316-88; a Goryeo general) or General Im Gyeong-eop (1594-1646; a Joseon general), we don’t know. He hung a worn-out portrait on the wall of the shrine, a Sinjangdo Divine Guardian portrait.

 

His grandfather lived in a house inside a couple of inner gates, past a few apartments let to other families. After pushing open the door, people would find a shrine at the farthest end of the left side of the house. His second son’s family lived in a house about 100 steps from his first son’s house, where he himself lived. His second daughter-in-law would leave her two sons at his first son’s house when she worked. Thus, the artist lived seven years under the care of his grandfather, but did not realize then or afterward that his grandfather’s spirit would always stay with him. This second son of his second son was the artist Sangdon Kim, who suffered from dyslexia.

 

During his years at Cheonho Elementary School, Sangdon Kim was a handy child with artistic talent. He didn’t know why this was a good thing, though, nor where to use it. His homeroom teacher gave him various tasks, and she also encouraged him when he graduated. He drew more attention with his talents in the art club at Cheonho Middle School. Although he didn’t put much importance on it, he wanted to try out his talent because his elder brother was recognized for his artistic talent. At Dongbuk High School, to which he commuted by bicycle, he joined both the art club and the Judo club. Like most boys growing up in a poor neighborhood at that time, he felt he needed to be strong. A private art-school teacher at the Gildong Crossroads guided him into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ulpture at the University of Seoul, an option whose tuition costs were lower than most other universities.

 

His college life was not satisfying to him, although, whenever a demonstration occurred on the campus, he liked to participate with performance art and his artistic expression. They were different from other, usual forms of demonstrations, so at some point he realized that he was leading them. Around that time, he also thought that he needed to go to France to study art, so he registered in YMCA language courses to learn the language. He had dropped out of the college, and then attended a special program at Kaywon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in Uiwang on the outskirts of Seoul, which had an exchange program with Düsseldorf Art Academy in Germany. There, he encountered Nam June Paik, Tadao Ando, and many German artists. In that program, which did not even require exams, his close relationship with Germany began.

 

One night, during his military service, Sangdon Kim had a strange dream: mountains collapsed and the sky crashed down to the earth. That day, he was given an unexpected leave of absence, so he went home—where he found that his grandfather had just passed away. He arrived there even before his family had tried to reach him in the military. Absentmindedly, he had gotten off the bus a stop before his house and had dropped by his uncle’s house. When he arrived, he found them hanging funeral lanterns in front of the house. It was a strange incident, yet it did not feel strange to him.

 

Somehow, he managed to go to Germany to study photography. To earn the tuition, he had worked all kinds of odd jobs: snow removal, carrying boxes at a fish cannery, and dishwashing in clubs and restaurants. It did not feel unfair to him. For his graduation photography project, he studied trees. He followed and recorded the lives of the Tannenbaum Christmas trees in Berlin. Each year, some 400,000 such trees were imported from Denmark, the Czech Republic, and Poland. After the season, they were sent back to Poland, to be ground up, mixed with potting soil, and resold in Berlin. By getting lifts on buses and trucks, he diligently traced the birth of these special trees, their injection with auxetic, an artificial strengthening agent, their sale into a wealthy city, and their end as soil in Berlin, leaving no trace of their former existence. In Germany, although he did not think overly about his grandfather, his ability to empathize with trees, that animistic ability, might have come from him. His grandfather no longer lived, but he lived inside Kim, and appeared everywhere—as liquid, as vapor.

 

Although he lived on German sausage and bread and learned German for years, Sangdon Kim’s dyslexia did not improve. As a student, he had read not only letters—he also read spots and wrinkles on the paper. He could not understand why he should only read letters. He looked at the book in its entirety. He memorized the great art critic Walter Benjamin just by sight. Although the speed of his reading, from cover to cover, was much slower than normal, he chewed books like rice and swallowed them with his eyes. Like that, books entered his body in their entirety, and he felt entranced.

 

Returning to Seoul after finishing at the Berlin University of the Arts Meisterschule, instead of trying to find a university teaching job, like other people returning from overseas studies, Kim worked as laborer, carrying meats in the Wangsipri slaughter neighborhood. And he did art late into the night. The smell of dead pigs, wafting from his body, was also a book read by his nose. He also worked for an interior decorator and in restaurants. Although he exhibited his sculptural pieces professionally in biennales and galleries, his livelihood did not change much. Although he never stopped working, he did not have savings. In fact, he had actually not tried to save. He was satisfied making enough to allow him to work on his sculptures, after taking care of his basic expenses.

 

Once he worked as a recorder of graves for people without family members. In Sangpaedong, Dongducheon, the site of main camps of the United States Second Infantry Division, almost 4,000 graves were of unknown people. Instead of gravestones there were only wooden stakes with numbers in front of them. They were the graves of “comfort women” for American G.I.s—women called “western princesses” or “Y-cabs” and despised in their own land. Sometimes, some of those graves did not have any bones in them, after exhumation. Who knows why? The bodies might have left for somewhere far away. Nearby, pine trees were particularly green and their insides were particularly red. And it had nothing to do with whether it was sunset or not. Pine trees were blazing on the places where people had disappeared. As he suddenly realized this transference, he was overwhelmed by a keen sense of wonder.

 

Kim brought plastic chairs into his studio that “Western princesses” had been sitting on as they waited for American G.I.s. “Bulgwangdong Totem” is composed of these plastic chairs and plastic flowers, instead of the animals or plants found in ordinary totems. The flowers were in the shape of wreaths used for weddings and funerals. Objects acquire a new spirit over time and after use. In the “Bulgwangdong Totem,” the two unrelated objects—plastic chairs and plastic flowers—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if they were originally a family. Heterogenous objects that look like they would find each other to be uncomfortable abruptly meet without difficulty and interact intimately. It is an imaginary locus in which Kim sets fire or enchants.

 

In “Snout Nebula,” everyday objects—candies, buttons, balloons, conch shells—hanging from a stick, are mounted on a cutting board. As the objects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the candies become closer to balloons, the buttons go farther away from conch shells. Through this process, the objects wander, losing or changing their meanings. These “stars” within the secular world are both chaos and an amalgamation of chaos and heaven. This chaos and amalgamation roil together, leading to a state of ecstasy.

 

The image of Burna turning in the “Cosmic Dance” series shows, through a single object, what is needed for the “action” leading to creation in Kim’s work. A tune and dance are both acts necessary for the change of a matter’s nature. Transference into another world is formed in this way.

 

“Cart” summarizes Kim’s unique ideas well. A colorfully decorated bier made by assembling carved pieces, sits atop a shopping cart. Traditionally, Koreans who died went to the other world, lying on a palanquin, a vehicle they might not have ridden while alive. By carefully observing Kim’s piece, we can find various living and dead people in the bier, including the Sewol Ferry victims. All living beings die only once—that is why life and death are absolute, never relative. A bier is the palanquin carrying them. That bier is carried by a temporary instrument, a shopping cart. There are neither bearers nor funeral songs. That kind of death and the culture of death that bore intense lamentation died long ago. A symbol of tradition and of a market society confront bitterly in the work. Yet “Cart” does not explicitly protest: a five-colored bier is simply heading somewhere, like a soul.

 

Materialistic society is one overflowing with ecstasy—but at the same time, it is a society that has lost the archetypal state of ecstasy. The state of ecstasy that a capitalist society, flooded with advertisements, sex, media, shopping centers, fashion, and information, exudes is simultaneously a jam-packed desiring and emptiness. And what crowds confront in this state of ecstasy is solitude. Sangdon Kim’s state of ecstasy, the opposite of a market society, is saturated with a different kind of ecstasy.

 

Beginning from a primitive archetype, which Kim experienced as a child in Cheonhodong, he returns to the current archetype, after fierce struggles with reality. In this process, both a new transference and a burning dialektik emerge. A colorful excitement also originates. Kim is never just an observer in the process of his creative work; he is involved as a recorder and an actor.

 

Creative works that reconstruct a state of ecstasy as a lost archetype are rare. This state of social ecstasy that Sangdon Kim captures is a marvelous achievement in Korean art. This exhibit is a joyous opportunity to explore and confirm what are the coordinates of this state of ecstasy that Sangdon Kim is uniquely creating.

Marip Suh (Art Critic)

<전이와 변증의 황홀경>      

 

아버지는 아버지를 싫어했다. 아버지 자신이 스스로를 싫어했다는 뜻이 아니다. 아버지는 아버지의 아버지를 싫어했다. 할아버지 말이다. 아버지는 아버지가 없는 사람인 양 살았다. 부끄러웠으므로. 아버지의 아버지는 무당이었다. 박수 무당이었다. 천호동 박수였다.

옹진에 살 적만 해도 박수는 아니었다. 개신교도였을 거라고들 했다. 모른다. 불교였을지도. 어쨌든 육이오 나기 전에 배를 타고 피란 나와 한강을 거슬러 올라와 광나루에 짐을 부렸다. 옹진에서는 살림이 넉넉했다. 천호동에서도 괜찮았다. 부동산 신화에 으레 나오듯 말죽거리에서 천호동까지 제 땅을 밟고 다닐 수 있었다. 그랬다고 한다. 다 둘째 아들이 둘째 아들을 낳기 전에 있었던 일들이다.

 

어째서 그랬는지 모른다. 알 수도 없다. 조부는 어느 날 잠을 자다가 문득 일어나 정처가 있는 것처럼 쏘아서 산으로 갔다. 넋이 나간 듯한 어른을 아들딸들이 말리면서 따라나섰다. 지금은 강남이라고 부르는 광주 땅 어디메 산비탈을 밤중에 맨손으로 파더니 칼과 요령방울과 쥘부채를 찾아왔다. 신이 내리거나 신에 홀린 것이었다. 그 길로 집에 신을 모셔 들이고 당을 세웠다. 몸주신이 최영 장군이었는지 임경업 장군이었는지 모른다. 당 바람벽에는 어떤 낡은 초상화, 그러니까 신장도 한 점이 걸려 있었다.

 

조부가 살던 곳은 앞쪽에 세든 사람들이 몇 집 있었고 다시 중문을 넘어가야 나왔다. 문을 밀면 왼쪽 끝방에 당이 설치되어 있었다. 조부가 거처하는 그  큰집에서 백여 걸음 떨어진 곳에 둘째네가 살았다. 둘째 며느리가 일을 나가면서 두 아들을 큰집에 맡겼다. 그리하여 일곱 해를 조부 슬하에서 살았지만 사는 동안에는 몰랐다. 그 뒤에도 몰랐다. 조부가 그에게 내리고 또 깃들 줄은. 그 둘째 아들네 둘째 아들이 난독증을 앓는 작가 김상돈이다.

 

천호국민학교에서는 손재주가 쓸 만한 아이였다. 왜 좋은지, 그걸 어디에 쓰는지 몰랐다. 다만 담임을 맡았던 여선생님이 이런 저런 일을 시켰다. 학교를 마친 뒤에도 격려를 잊지 않았다. 천호중 미술반에서도 주목 받았다. 대단한 건 아니었다. 형이 미술 솜씨를 인정 받는 걸 보고 자신도 덤벼보고자 했을 따름이었다. 둔촌동에 있는 동북고까지는 자전거를 타고 다녔다. 거기서는 미술부원이자 유도부였다. 그 시대 가난한 동네 소년들이 그렇듯 완력이 있어야 할 듯도 싶었던 거다. 그때 길동사거리에 있는 미술학원 강사가 학비가 덜 들어가는 쪽을 택해야 했던 그를 서울시립대 환경조각과로 이끌었다.

 

대학생활은 기대보다 확실히 재미없었다. 다만 학내 시위가 있을 때 미술행위와 미술언어를 구사하는 일은 즐거웠다. 보통 데모와 달랐으므로. 어느 순간 자신이 그 일을 이끌고 있기도 했다. 그 무렵 프랑스에 가서 미술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와이엠씨에이 어학반에 등록하고 얼쩡거렸다. 학교는 그만 두고 있었다. 뒤셀도르프 예술아카데미와 교류를 하고 있던 계원예술대학 특별과정을 한 해 동안 다녔다. 거기서 운 좋게 백남준, 안도 다다오, 독일 작가들을 만났다. 시험을 보거나 하는 것도 아니었다. 독일과 인연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군대 있을 때 묘한 꿈을 꾸었다. 산이 무너지고 하늘이 땅으로 내려왔다. 그날 별 이유 없이 포상휴가를 가라고 해서 집에 갔더니 할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직후였다. 미처 식구들이 그에게 연락하거나 한 게 아니었다. 괜히 버스를 한 정거장 먼저 내려서 큰집부터 들렀다. 무심히 그러하였다. 큰집 앞에는 막 초상집 등롱이 내걸리고 있었다. 이상한 일이었지만 이상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어찌어찌하여 독일로 사진 공부를 하러 갔다. 겨울에 눈 치우는 일, 생선공장에서 상자 나르기, 클럽과 레스토랑 접시닦기 등 학비를 벌기 위해 별별 일을 다 해봤다. 조금도 억울하지 않았다. 졸업작품은 나무를 따라다니면서 마무리했다. 베를린 크리스마스에 쓰는 탄넨바움 Tannenbaum(전나무)의 생을 쫓아 기록했던 것이다. 해마다 덴마크, 체코, 폴란드에서 들어오는 축제용 나무는 거의 40만 그루에 달했다. 시즌이 끝나면 나무는 다시 폴란드로 가서 분해되어 화분용 흙에 섞여 베를린으로 돌아왔다. 그는 버스와 트럭을 얻어 타고 다니면서 한 그루 나무가 태어나서 성장 촉진제를 맞고 돈 많은 도시로 팔려왔다가 완전히 해체되어서 다시 아무런 흔적없이 베를린의 흙이 되는지를 집요하게 추적했다. 그곳에서 달리 할아버지 생각에 몰입하거나 한 적은 없었다. 다만 나무들에게 말을 걸 수 있는 애니미즘의 힘은 거기에 내력이 닿아 있다고 해야 좋을 게다. 조부는 아무 데도 없었고 김상돈 안에서 녹아 아무 데서나 출몰하였다. 액체로, 기체로.

 

몇 해 동안 독일 소시지에 빵을 먹고 독일말을 익혀도 난독증은 변화가 없었다. 김상돈은 글자만 읽는 학생이 아니었다. 소싯적에도 그랬다. 글자 위에 점이 있거나 종이가 구겨진 것까지 함께 읽었다. 그걸 빼고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를 알지 못했다. 그는 문자를 읽는다기보다는 책을 보았다. 통째로 책을 봤다. 발터 벤야민을 오직 시력으로 외웠다. 표지에서 뒷장 출판사 이름까지. 책 읽는 속도가 다른 사람들보다 몇 배 느렸지만 다른 사람보다 책을 밥처럼 씹어먹고 눈 속에 우겨 넣었다. 책은 그렇게 그의 몸 속으로 들어왔고, 그런 순간 그는 황홀경을 맛보곤 했다.

 

베를린국립미술대학 마이스터슐레Meisterschueler를 마치고 서울에 돌아온 김상돈은 흔히 유학을 끝낸 귀국자들이 대학 강의 자리를 찾으러 다닐 때 왕십리 푸줏간 동네에서 도축한 소와 돼지를 등에 메고 다니는 일을 했다. 숙소에 오면 늦도록 작업을 했다. 몸에서 풍겨 나오는 죽은 돼지 냄새도 그에게는 코로 읽는 책이었다. 인테리어 일도 했다. 레스토랑 일도 했다. 비엔날레, 미술관에 작업을 설치하고 다니는 작가였지만 먹고 사는 건 그닥 달라지지 않았다. 늘 일을 해도 따로 넣어두고 쓸 수 있는 돈은 없었다. 돈을 모아보려고 한 적도 없었다. 일을 하고 몇 푼 챙겨서 작업을 하면 족했다.

 

이런 일도 있었다. 동두천 상패동에 가면 무연고자 묘지  사천여기가 있다. 묘비 대신 겨우 번호가 박힌 나무 말뚝이 서 있다. 이름은 없다. 미군 위안부들, 그러니까 ‘양공주’, ‘와이캡’ 따위로 자기 땅에서 비하 당해 온 여인들이 묻힌 묏등이었다. 김상돈은 이름 없는 떼무덤을 기록하는 작업을 했다. 어쩌다 이 무덤을 파헤칠 때 땅을 파도 뼈가 나오질 않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모른다. 그 시신들이 어디로 훌훌 떠나버렸는지도. 주위를 돌아보면 가까운 곳에 서 있는 소나무가 유난히 푸르고 속이 붉었다. 그때 노을이 끼치고 있었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았다. 사람은 사라진 자리에서 소나무가 타오르고 있었다. 그 전이를 문득 발견할 때 뜨거운 경이가 어디선가 밀려왔다.

김상돈은 양공주들이 늘상 앉아서 미군 사내들을 기다리던 플라스틱 의자를 가져왔다. ‘불광동 토템’은 보통 동식물이 토템이 되는 게 아니라 사람이라는 동물, 그 중에서도 ‘양공주’들이 사용해온 플라스틱 의자라는 사물과 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꽃은 인공꽃 조화造花이자 혼사나 초상 때 놓아두는 화환 혹은 조화弔花 모양을 하고 있다. 외부 세계에 있는 사물이 인간의 때, 시간의 때가 묻으면 새 기운을 얻는다. ‘불광동 토템’에서 개연성 없는 두 사물은 마치 원래 한 식구였던 양 대화를 하고 있다. 전혀 이질적으로, 적어도 몹시 불편할 듯한 사물들은 아무 탈 없이 홀연히 ‘불광동’이라는 거점을 두고 ‘토템’으로 만나 교접하고 있다. 거기가 김상돈이 불 지르거나 주술을 부여하고 있는 상상의 거처다.

 

‘입 성운星雲 Snout Nebula’은 사탕, 단추, 풍선, 소라껍질 따위 일상에서 온 오브제들을 매단 막대기가 도마에 꽂힌 채 서 있다. 여기서 입이란 말하는 입이다. 사물들은 사물들끼리 대화를 나누면서 사탕은 풍선에 가까워지고 단추는 소라껍질과 멀어진다. 이를 통해 오브제들은 본래 성질을 잃어버리거나 바뀌면서 어디론가 떠돌게 된다. 이 세속에 서 있는 별들은 아수라이자 천당의 혼융이다. 혼돈과 융합이 한데 끓어오르면서 모종의 황홀경으로 사태를 이끈다.

 

‘코스믹 댄스 Cosmic Dance’ 연작 중 버나를 돌리고 있는 형상은 김상돈 작업에서 창조에 이르는 ‘작용’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를 단일체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가락과 춤은 질료의 성질 변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행위이자 그 자체다. 다른 세계로 이동해가는 전이는 이렇게 형성된다. 

 

김상돈의 사고와 작업이 집약되고 있는 건 ‘카트’다. 작가가 하나하나 깎고 파내고 조립한 남도 꽃상여가 쇼핑공간에서 사용하는 카트 위에 올라가 있다. 전통 사회에서 한국인은 살아서는 타지 못하던 가마를 죽어서는 누구나 누워서 타고 저승으로 갔다. 구석구석을 살펴보면 산 자, 죽은 자, 세월호 사람들까지가 상여를 구성하고 있다. 모든 생명체에게 죽음은 한 번뿐이다. 생명과 죽음이 한없는 절대성, 또는 비상대성을 갖는 이유다. 상여는 그걸 싣고 가는 가마다. 그게 임시 수단인 쇼핑 카트에 의지해서 움직이고 있다. 상두꾼도 만가도 있을 리 만무하다. 고도의 비의를 품고 있던 죽음, 또 죽음 문화는 진작에 죽었다. 전통 상징과 시장 상징이 이토록 통렬하게 한 작업 안에서 부딪힌 적은 일찍이 없었다. 그렇다고 ‘카트’는 굳이 항변하거나 하지는 않는다. 그저 넋처럼 상여가 오방색을 칠한 채 어디론가 달려가고 있다.

 

물질사회는 황홀경의 홍수 사회이지만 동시에 원형으로써 황홀경을 상실한 사회다. 광고, 성, 미디어, 쇼핑공간, 패션, 정보 따위 자본 사회가 뿜어내는 황홀경은 빈틈없이 꽉 찬 욕망이자 동시에 꽉 찬 공허다. 대중은 이 황홀경 속에서 도리어 고독과 마주선다. 김상돈의 황홀경은 포화상태에 도달한 시장의 황홀경과는 정반대 황홀경이다.

 

그는 천호동에서 선체험한 원시 원형에서 출발해서 현실에서 치열한 쟁투를 거쳐 다시 현재의 원형으로 귀환한다. 이 과정에서 싱싱한 전이轉移transference와 뜨거운 변증Dialektik이 발생한다. 색의 신명神明 또한 여기서 나오고 있다. 작가는 작업 전체를 통해 어느 대목에서도 관찰자가 아니다. 대부분 자신이 행한 기록들이자 작업 자체가 자신이다. 넋과 몸이 따로 노는 게 아니라 하나로 노래하고 있다.  

 

상실했던 원형으로써 황홀경을 재구성하고 있는 작업은 실로 드물다. 김상돈이 획득하고 있는 이 사회적 황홀경은 한국 미술의 신비로운 성취다. 이번 전시는 김상돈이 고유하게 생성시켜내고 있는 황홀경의 좌표가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유쾌한 기회다.

서마립(예술비평가)

bottom of page